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1.01.26 [18:28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의료/과학
폐경기 호르몬 요법, 난소암 위험 20% 높여
폐경기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많은 여성들이 사용하고 있는 호르몬 요법이 유방암, 난소암 등 여성 암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. ...
최지승경
| 2007.05.11 17:20
불임시술 부작용 많다
불임여성의 몸에 배란유도제를 투여해 난자를 채취하는 시술에서 비롯되는 휴유증은 복부팽만, 구토 등의 부작용 정도가 아니다. 불임시술 후 난소과자 ...
윤정은
| 2007.04.24 07:12
줄기세포연구 앞서 난자채취 위험성 밝혀야
황우석 사태 이후 정부가 ‘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’의 미비한 문제점을 보완하고, 난자 수급 문제에서 드러난 윤리 문제를 수습함에 있어 ‘생식 ...
윤정은
| 2006.11.29 08:00
연구용으로 멀쩡한 난소까지 떼내
황우석 사건 이후 1년이 다 되어가는 지금에서야 보건복지부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(이하 국가생명윤리위)가 ‘황우석 연구의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...
윤정은
| 2006.11.29 07:40
황우석 사태 난자채취, 병원-정부 책임회피
황우석 사태의 전말이 드러난 지 만 1년이 지나고 있는 가운데, 한국여성민우회 등 35개 여성단체들은 21일 ‘난자채취 피해자 손해배상 청구소송 관련 ...
윤정은
| 2006.11.22 02:35
불임시술은 여성의 선택인가
올해 38살의 A씨(여). 그는 결혼하기 전에 아이를 갖지 않기로 남편과 합의했다. 그러나 결혼하자 마자 상황은 달라졌다. 주위의 강력한 임신 권유가 끊임 ...
조이승미
| 2006.08.09 03:19
불임부부 지원사업의 문제
지난 1월 한 불임클리닉의 홈페이지 상담실에는 시험관아기 시술 후 14주가 된 아내를 둔 남편이라고 밝힌 사람이 급히 상담을 요청한다며 글을 게시했 ...
조이승미
| 2006.08.02 02:18
‘감시의 눈’아닌 ‘인권의 눈’으로
7월 30일 일요일 서울 신촌에서는 HIV/AIDS감염인 인권증진을 위한 캠페인이 진행됐다. 다양한 치료제 개발로 의학계에서 이제 에이즈는 고혈압, 당뇨처럼 ...
박희정
| 2006.08.02 01:23
의약품 정보문의에 ‘제약회사 허가 받아오라’
불임시술 과정에서 사용되는 ‘과배란제’의 효과와 위험성에 대해 취재하던 중, 과배란제로 쓰이는 ‘휴메곤’과 ‘퓨레곤’ 등의 원료 성분과 유통 ...
조이승미
| 2006.07.26 00:39
에이즈 예방하려면 한미FTA “안돼”
1990년대 중후반 많은 에이즈치료제가 개발되고, 1995년 삼제병용요법이 시작되면서 에이즈는 더 이상 “죽음의 병”이 아니다. 적절한 치료와 관리만 있 ...
박희정
| 2006.07.19 04:03
1
10
11
12
13
14
15
많이 본 기사
1
코로나 시대, 미등록 이주노동자와 같이 살아가는 법
2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3
남학생은 ‘자위’, 여학생은 ‘월경’에 대해 묻는다
4
‘관심군’ 선별…학교는 우리가 어떤 ‘몸’이길 바라는가
5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6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7
“여성살해를 멈춰라”…멕시코의 페미니즘 열기
8
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
9
노동자의 ‘다른 이미지’, ‘새로운 서사’를 쓴다는 것
10
코로나 시대야말로 “사후피임약을 약국에서”
사회
많이 본 기사
1
남학생은 ‘자위’, 여학생은 ‘월경’에 대해 묻는다
2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3
“우린 더 이상 우리가 영웅으로 느껴지지 않는다”
4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5
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
최신기사
빼앗긴 정체성과 권한을 되찾는 음악적 목소리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Listening to Women’s Voices at the Euljiro Redevelopment Site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