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1.01.26 [18:28]

전체기사 l 로그인 l ID/PW 찾기

배너
로고
사회노동녹색정치국경너머소수자 시선문화일다의 방English Article

검색

검색창 닫기

  • 일반
  • 평화
  • 성차별
  • 성폭력
  • 성매매
  • 정치/정책
  • 가족/관계
  • 의료/과학
  • 이주
  • 아시아
  • 세계
  • 퀴어
  • 장애
  • 십대
  • 영화
  • 책/문학
  • 음악
  • 여행
  • 만화/애니
  • 공연/전시
  • 매체비평
  • 인터뷰
  • 창작
  • 몸 이야기
책/문학

공허한 말이 판치는 시대, 반짝이는 기록
언론사에 속하지 않은 르포작가들은 조직 눈치 보지 않고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나. 르포 작가는 인간을 그 자체로 이해하 ...
박희정   |   2014.10.25 16:42

풍경처럼 스쳐간 여자, 하인숙의 이야기
언어로써 생각을 발표할 기회를 가지지 못했다고 해서 그녀들의 삶이 안개 속 풍경의 일부로 그려지는 건 부당하다. 적어도 그녀들의 다음 세대인 나는 ...
안미선   |   2014.09.29 21:15

부치지 못한 편지 – 소중한 내 친구에게
아이를 안고 있는 여신 카드가 나왔을 때 말없이 가만히 내려다보았어. “…왜 그렇게 눈치가 없어.” 그때야 난 서영 씨가 그사이 완전히 이혼했다는 ...
안미선   |   2014.09.16 09:01

옛 시간을 되살려내는 ‘언어’
“-그럼 너 그걸 정말 할 거니? ‘어린 시절의 추억을 회상하는 것’ 말이야…” “-그래, 나로서는 어쩔 수 없어. 그러고 싶어, 왠지 모르겠지만…” < ...
안미선   |   2014.08.30 23:18

먼저 간 그녀들과 거침없이 이야기하고 싶다
거실에 모인 다양한 여성들은, 남자들의 시선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그 오롯한 자리에서 거침없이 속 얘기를 한다. 남자들과의 섹스 때 벌어진 긴장 ...
안미선   |   2014.07.17 12:36

변화에 휩쓸리는 노년을 사는 지혜
20세 이후 지금까지 얼마나 이곳 저곳을 옮겨 다니면서 살았던가. 50대를 바라보는 지금, 한 곳에 진득하니 머물면서 이웃들과 안부 인사도 나누는 ‘정 ...
이경신   |   2014.06.19 23:56

“어머니의 책임은 두려울 정도로 많다”
앞치마 두른 어머니의 이미지대로 살 수도 없고 슈퍼부모도 될 수 없으므로 죄책감을 느낀다. ...
안미선   |   2014.06.05 01:13

아직도 나목(裸木)이 살아 있다
맨몸뚱이의 나목은 어떻게 땅에서 뿌리를 거둬들이지 않고 기필코 움을 틔우려 작정하는가. ...
안미선   |   2014.05.13 14:11

우리의 ‘존재’가 한국현대사의 일부가 되길
한국, 자기가 낳은 자식을 돌보지 못하고 대신 그들에게 팔아버린 그 짐승이었기 때문인지도 ...
안미선   |   2014.04.28 00:00

“할머니들 물같고 풀같은 데모를 하십니다”
이 봄날, 단단한 아스팔트를 뚫고 올라오는 여린 풀들처럼 영차영차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. ...
안미선   |   2014.04.14 15:20
 1  이전 10  11  12  13  14  15  16  17  18  19  20 다음  37 
  • 상세검색
많이 본 기사
1
코로나 시대, 미등록 이주노동자와 같이 살아가는 법
2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3
남학생은 ‘자위’, 여학생은 ‘월경’에 대해 묻는다
4
‘관심군’ 선별…학교는 우리가 어떤 ‘몸’이길 바라는가
5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6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7
“여성살해를 멈춰라”…멕시코의 페미니즘 열기
8
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
9
노동자의 ‘다른 이미지’, ‘새로운 서사’를 쓴다는 것
10
코로나 시대야말로 “사후피임약을 약국에서”
문화 많이 본 기사
1
상처 입은 ‘외눈 고양이’를 대하는 소녀의 태도
2
10년 가까이 레이블과 싸워 권리를 쟁취한 틴-팝스타
3
빼앗긴 정체성과 권한을 되찾는 음악적 목소리
최신기사
빼앗긴 정체성과 권한을 되찾는 음악적 목소리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Listening to Women’s Voices at the Euljiro Redevelopment Sites

위로

일다 소개 ㅣ 만드는 사람들 ㅣ 일다의 친구들 ㅣ 연대와 협력 ㅣ 개인정보취급방침 ㅣ 기사제보 ㅣ 기사검색

copyright 2003 일다 All rights reserved. (유)미디어일다 110-81-87211
제호: 일다 | 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: 서울아00951 | 등록 2009-09-03 | 발행인 겸 편집인: 조여울 | 개인정보관리 및 청소년보호책임자 : 윤정은
주소: 04056 서울시 마포구 와우산로37길 48(동교동) 203 | 전화 02-362-2034 | 팩스 070-4106-2035 | 메일 : ilda@ildaro.com

by 인스정보기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