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1.01.26 [18:28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책/문학
‘여돌여덕’ 소설가는 자기가 읽고 싶은 소설을 쓴다
내가 신뢰하는 동료인 소설가 천희란은 “소설가는 자신이 쓴 소설로 지금 서 있는 위치를 밝히는 사람”이라고 했다. 그 말을 나는 최근 들어 자주 생 ...
조우리
| 2020.06.16 20:50
‘믿는 페미니스트’들이 만들어가는 열린 공동체
페미니스트에게 기독교는 불편한 존재다. 페미니즘 행사에서 종교와 관련한 주제가 화두에 오르면 ‘탈기독교’ ‘탈교회’ 이야기를 으레 듣곤 했다 ...
설목
| 2020.06.11 19:48
대학 페미니스트로서 나와 당신의 ‘몫’은 무엇일까
스무 살의 당신은 교지에 실린 선배 정윤의 기사를 보고 바로 이런 글, ‘한 번 읽고 나면 읽기 전의 자신으로는 되돌아갈 수 없는 글’을 쓰고 싶다고 ...
원정
| 2020.05.27 17:17
우리는 같은 곳에 모인 ‘다른 사람’…그래서 강하다
내가 본 것이 ‘다른 사람’의 삶 속 각자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의미 있다고 느꼈다. 그래서 이 책을 읽고 난 다음 우리는 ‘다른 사람’의 이야기를 들 ...
원정
| 2020.05.01 20:45
간병, 사회적 분담 못지않게 ‘젠더 정의’가 중요하다
이상했다. 국가는 노인 돌봄 복지를 강화했고 정부가 민간에 위탁한 노인요양시설도 많아졌는데, 왜 내 고민은 해결되지 않는 걸까? ...
윤일희
| 2020.04.25 19:11
‘뭘 어쩌라고요’…그녀의 이 말은 이해될 수 있을까
어떤 말들은 이해받기 위해 책 한 권이 필요하고, 어떤 선택은 이해받기 위해 누군가의 삶 전체가 필요하다. ...
은진(호네시)
| 2020.04.10 10:54
성범죄의 ‘증언’은 왜 진실을 의심받는가?
성착취를 고발한 故 장자연의 증언은 나온 지 10년이 넘었지만, 아직도 사법의 언어로 번역조차 되지 못하고 있다. 증언자 윤지오는 오히려 사법적 언어 ...
이수영
| 2020.04.05 14:33
배제가 익숙한 사회에 ‘다양성의 빛깔’을 보여줘
작가 제시카 러브는 스스로를 발견한 이들에게 작은 파티를 열어 주고 싶다는 바람으로 이 책을 썼다고 밝혔다. ...
안지혜
| 2020.03.31 19:48
괴물이라 불린 여자들, ‘아버지의 질서’를 흔들다
괴물이라 불렸던 여성들은 기존의 ‘여성’에 대한 통념을 이미 위반하고 있지만, 동시에 그들이 ‘여성’이라는 사실이 그들의 괴물성을 구성하는 데 ...
은진(호네시)
| 2020.03.22 18:12
삼일절과 세계여성의날 사이, 기억해야 할 여성들
“이 세상에 만약 남자가 업다면”이라는 책 제목에서 맞춤법이 어색한 건 1929년 2월 1일 잡지 에 실린 여성주의자 허정숙의 글을 그대로 옮긴 것이기 때 ...
서영
| 2020.03.07 18:57
1
2
3
4
5
6
7
8
9
10
37
많이 본 기사
1
코로나 시대, 미등록 이주노동자와 같이 살아가는 법
2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3
남학생은 ‘자위’, 여학생은 ‘월경’에 대해 묻는다
4
‘관심군’ 선별…학교는 우리가 어떤 ‘몸’이길 바라는가
5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6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7
“여성살해를 멈춰라”…멕시코의 페미니즘 열기
8
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
9
노동자의 ‘다른 이미지’, ‘새로운 서사’를 쓴다는 것
10
코로나 시대야말로 “사후피임약을 약국에서”
문화
많이 본 기사
1
상처 입은 ‘외눈 고양이’를 대하는 소녀의 태도
2
10년 가까이 레이블과 싸워 권리를 쟁취한 틴-팝스타
3
빼앗긴 정체성과 권한을 되찾는 음악적 목소리
최신기사
빼앗긴 정체성과 권한을 되찾는 음악적 목소리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Listening to Women’s Voices at the Euljiro Redevelopment Site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