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1.01.26 [18:28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이주
‘국제결혼신부’, 그 피해가 늘고 있다
남편의 폭력을 피하다 아파트 베란다에서 떨어져 죽은 여성, 모욕적인 성행위 등을 강요 받고 가출한 어린 여성, 산후우울증에 시달리다 가출한 후 굶어 ...
이금연
| 2004.06.20 23:08
외국인으로 산다는 건
...
윤하
| 2004.05.31 00:40
해외투자기업 산업연수생 고용주 첫 유죄
지난 5월 14일 대법원이 해외투자기업산업연수생(이하 해투연수생)을 고용한 후 이들의 인권을 유린한 업체 고용주에 대해 근로기준법과 최저임금법 위 ...
강우진경
| 2004.05.30 21:36
외국여성 성매매, 돌파구 절실
“착취, 체불임금, 고객 외 업소주인, 매니저 등에 의한 성적 서비스 강요, 강제구금, 이동의 자유 제한.” 한국의 유흥업소에 종사하는 러시아, 필리핀 ...
최이윤정
| 2004.03.15 01:42
난민정의에 대한 성인지적 해석 절실
난민협약에 명시된 박해의 근거- 인종, 종교, 국적, 특정사회집단의 구성원 신분, 정치적 의견- 중에, 여성이 ‘젠더’ 박해에 직면할 때 난민으로 인정 ...
민최지원
| 2004.01.11 23:19
‘성별에 의한 박해’도 난민 기준돼야
세계 난민 인구 중 여성과 아이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80%에 달한다. 그리고 중국 내 탈북여성의 수는 탈북자의 대략 70%~80%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...
민최지원
| 2003.12.28 21:48
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인 우편주문신부
‘우편주문신부’(Mail Order Bride)는 말 그대로 인터넷이나 한 번의 맞선 정도로 외모와 프로필만을 확인한 후, 신부가 될 사람을 주문하여 성사된 법적 신 ...
이박현숙
| 2003.11.30 22:05
고용허가제 이후 여성들은?
“모 사무용품 제조회사의 필리핀 여성연수생들은 회사측의 잔업 요구에 의해 주 평균 84-105시간의 노동을 강요 받았다. 회사측의 잔업 요구를 거부할 ...
양혜우
| 2003.10.27 01:20
[사진] ‘베트남처녀’가 상품?
몇 년 전부터 낯설지 않게 거론되는 동남아 여성들과 한국남성들의 ‘국제결혼’. 광고는 한 점의 부끄럼 없이 말한다. “베트남 처녀와 결혼하세요 ...
김이정민
| 2003.07.27 23:37
북한여성 굶주림과 성매매
300만에서 350만. 국제 구호단체와 '좋은벗들'이 북한에서 굶주림과 질병으로 죽어간 사람들을 추산한 숫자다. 북한인구의 거의 15%에 달한다. 인류 역사상 ...
정윤진
| 2003.07.07 02:30
1
30
31
많이 본 기사
1
코로나 시대, 미등록 이주노동자와 같이 살아가는 법
2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3
남학생은 ‘자위’, 여학생은 ‘월경’에 대해 묻는다
4
‘관심군’ 선별…학교는 우리가 어떤 ‘몸’이길 바라는가
5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6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7
“여성살해를 멈춰라”…멕시코의 페미니즘 열기
8
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
9
노동자의 ‘다른 이미지’, ‘새로운 서사’를 쓴다는 것
10
코로나 시대야말로 “사후피임약을 약국에서”
국경너머
많이 본 기사
1
“낯선 땅에서 일하다 죽게 될까 무섭습니다”
2
코로나 시대, 미등록 이주노동자와 같이 살아가는 법
3
“문화간 오해 전문가들”이 무용극을 통해 전달하는 것
4
핵의 영향은 계속돼…‘검은 비’ 소송에서 피폭자 완전 승소
5
“여성살해를 멈춰라”…멕시코의 페미니즘 열기
최신기사
빼앗긴 정체성과 권한을 되찾는 음악적 목소리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Listening to Women’s Voices at the Euljiro Redevelopment Site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