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1.01.26 [18:28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의료/과학
정신의료 ‘조기 개입’ 흐름 위험하다
아이가 수업 시간에 돌아다녀 수업에 어려움이 있다며, 담임으로부터 정신과 진단을 권유 받았다. 병원에서 진단을 받고, 처방 받은 약인 항정신질환제 ...
시마다 가즈코
| 2015.01.19 11:02
죽음을 앞두고 어떤 말을 남길까?
내가 유언장을 쓰는 이유는 내가 소유했던 것을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고 싶기 때문이다. 한 마디로 ‘유언 상속’을 하고 싶다는 뜻이다. ...
이경신
| 2014.10.06 11:41
중환자실에서 죽고 싶지 않은 까닭
어린 시절 내가 살던 동네 길 건너에는 장의사가 있었다. 문 밖에 걸려 있던 짚신에 대한 기억이 어슴푸레 난다. 가끔 열린 문틈으로 낯선 물건들도 보였 ...
이경신
| 2014.09.10 19:07
두 말기 폐암환자의 ‘다른 선택’
불치병에 걸려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시한부 선고를 받는다면 어떨까? 이때 비로소 우리는 자기 자신의 죽음을 진지하게 생각할지 모르겠다. ...
이경신
| 2014.07.22 17:54
‘감금증후군’ 환자들의 목소리
비유가 아니라, 산 채로 육신의 감옥에 유폐된 사람들이 정말로 존재한다. ...
이경신
| 2013.10.31 15:36
마을이 함께 건강해지자!
“혼자서 건강해지기란 쉽지 않다. 그러니 우리 같이 건강해지자. 한 마을이 함께 건강해지자.” 은평구에 위치한 살림의료생협에서 7월 문을 연 운동센 ...
박희정
| 2013.10.07 08:30
日 자궁경부암 백신 '안전성 논란' 제기돼
접종 실시 초기부터 ‘주사 통증으로 실신’ 정도의 부작용이 보도되었지만, 실상은 더욱 심각했다. 접종 3개월 후 보행 곤란, 사지관절통, 일광과민증 ...
야마자키 히로미
| 2013.06.26 20:20
산부인과 진료문화, 여성의 시선으로 살펴보면
흔히 ‘여성건강’이라고 했을 때 ‘산부인과’를 떠올리는데 이 공간이 가진 이미지는 뭔가 가기 꺼려지는, 싫은 느낌이거든요. 과연 그 이유는 무엇 ...
박은지
| 2012.12.26 07:31
‘건강과 젠더’, ‘연구와 운동’이 만날 수 있길
2008년만 해도 ‘젠더와 건강’이라는 분야는 굉장히 생소했다.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이야기하다 보니 소통에 어려움이 있었다. ‘메커니즘(mec ...
박은지
| 2012.07.26 16:35
사후피임약 ‘복약시기’ 놓치지 않는 것이 관건
응급피임약의 일반의약품 전환을 주장하는 쪽에서는 응급피임약의 가장 큰 부작용은 “피임의 실패”라는 점을 강조한다. 사후피임약은 성관계 후 72시 ...
박희정
| 2012.06.14 13:45
1
2
3
4
5
6
7
8
9
10
15
많이 본 기사
1
코로나 시대, 미등록 이주노동자와 같이 살아가는 법
2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3
남학생은 ‘자위’, 여학생은 ‘월경’에 대해 묻는다
4
‘관심군’ 선별…학교는 우리가 어떤 ‘몸’이길 바라는가
5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6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7
“여성살해를 멈춰라”…멕시코의 페미니즘 열기
8
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
9
노동자의 ‘다른 이미지’, ‘새로운 서사’를 쓴다는 것
10
코로나 시대야말로 “사후피임약을 약국에서”
사회
많이 본 기사
1
남학생은 ‘자위’, 여학생은 ‘월경’에 대해 묻는다
2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3
“우린 더 이상 우리가 영웅으로 느껴지지 않는다”
4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5
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
최신기사
빼앗긴 정체성과 권한을 되찾는 음악적 목소리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Listening to Women’s Voices at the Euljiro Redevelopment Site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