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1.01.26 [18:28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아시아
자위대의 전쟁참여, 지부티에서 시작하나?
아프리카 동부의 작은 나라 지부티가 일본의 전쟁 참여 가능성을 여는 최대 초점이 되고 있습니다. 지부티는 인도양과 지중해를 잇는 홍해의 남쪽 현관 ...
다카바야시 도시유키
| 2016.12.09 14:02
아이를 낳는 선택도, 낳지 않는 선택도 돕는다
‘임신SOS도쿄’는 임신을 한 당사자, 스스로가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. 아이를 낳기로 선택하는 것도, 여러 고민을 해본 결과 낳지 않기로, 낳지 못 ...
아카이시 치에코
| 2016.10.10 03:16
“우리 피부 아래엔 끔찍한 기억이 꽂혀있어요”
언젠가부터 과거를 밀봉해버렸다. “캄보디아의 가족은 전부 마찬가지예요. 저희 피부 아래에는 그 끔찍한 기억이 꽂혀 있어요. 하지만 부모님은 이야 ...
나카무라 후미코
| 2016.09.21 10:39
구마모토 대지진 후 넉 달, 피해자들은 지금
불안하다, 수유를 위해 몸을 가릴 장소가 없다, 고등학생 딸이 있는데 옆에서 팬티 하나만 걸치고 있는 남성이 있어 난감하다 등 여성들의 목소리가 있 ...
시미즈 사츠키
| 2016.09.01 13:37
다낭의 푸른 바다를 지켜온 청년들
참파왕국의 이야기를 품은 곳, 베트남 중부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다낭은 오래전부터 국제무역의 주요 역할을 해온 곳이다. 다낭에는 서울의 한강과 같 ...
구수정
| 2016.08.25 10:11
혼자 빨리 가기보다, 함께 멀리 가라
인구가 9천3백만 명인 베트남은 세계에서 14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다. 그중 10세~24세 인구가 40%에 달하며, 15~59세 노동인구가 70%에 달하기 때문에 ‘젊 ...
구수정
| 2016.07.06 14:32
봇물터진 동성커플 결혼식, 베트남에 무슨 일이?
정부가 기존 동성결혼 금지법을 폐기했죠. 하지만 동성결혼을 공식 인정한 건 아닙니다. 성소수자 커플이 결혼식은 할 수 있어도 법적 부부로 인정받지 ...
구수정
| 2016.06.06 12:12
교실에서 나와 마을로 들어간 청년들
이 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은 당황스럽다. 이름처럼 교실만 없는 것이 아니라, 교재도 없고 정해진 커리큘럼도 없기 때문이다. 당분간 교실은 호이안의 한 ...
구수정
| 2016.05.08 19:33
‘장애’ 인식을 바꾸면 일자리가 창출된다
유학생들은 베트남과 뉴질랜드를 오갈 때 자신의 수화물을 줄이고 대신 수공예품을 운반하는 방식으로 <핸디커넥트>의 운송비를 절감해주고 있죠. 무엇 ...
구수정
| 2016.04.17 12:18
농민과 함께 ‘푸른 밥상’을 꿈꾼다
세계에서 베트남은 캐슈넛 수출 1위, 후추 수출 1위, 쌀 수출 2위, 커피 수출 2위, 차 수출 2위 등을 기록하고 있는 대표적인 농업 국가다. 그런데 최대 곡 ...
구수정
| 2016.03.22 09:50
1
2
3
4
5
6
7
8
9
10
28
많이 본 기사
1
코로나 시대, 미등록 이주노동자와 같이 살아가는 법
2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3
남학생은 ‘자위’, 여학생은 ‘월경’에 대해 묻는다
4
‘관심군’ 선별…학교는 우리가 어떤 ‘몸’이길 바라는가
5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6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7
“여성살해를 멈춰라”…멕시코의 페미니즘 열기
8
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
9
노동자의 ‘다른 이미지’, ‘새로운 서사’를 쓴다는 것
10
코로나 시대야말로 “사후피임약을 약국에서”
국경너머
많이 본 기사
1
“낯선 땅에서 일하다 죽게 될까 무섭습니다”
2
코로나 시대, 미등록 이주노동자와 같이 살아가는 법
3
“문화간 오해 전문가들”이 무용극을 통해 전달하는 것
4
핵의 영향은 계속돼…‘검은 비’ 소송에서 피폭자 완전 승소
5
“여성살해를 멈춰라”…멕시코의 페미니즘 열기
최신기사
빼앗긴 정체성과 권한을 되찾는 음악적 목소리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Listening to Women’s Voices at the Euljiro Redevelopment Site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