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1.01.26 [18:28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의료/과학
치매환자를 위한 운동, 무엇이 있을까
치매환자는 늦은 오후나 이른 저녁시간에 혼란과 불안 증세가 더 심해질 수 있다. 그래서 운동은 해가 지기 전에 하는 것이 좋다. 외국의 몇몇 병원들에 ...
박은지
| 2011.04.18 23:31
약을 쉽게 살 수 있는 것이 혜택일까?
보건복지부는 일반의약품을 슈퍼나 편의점에서도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할 것이라는 소식이 들린다. 우리가 심야나 주말에도 일반 의약품을 ...
이경신
| 2011.04.18 04:47
신약은 좋은 약인가?
이윤추구에 골몰하는 제약회사가 비용을 부담할 수 있는 고객에만 집중하는 것이 놀라운 일은 아니다. 제약업계는 페니실린과 같은 기적의 치료제보다 ...
이경신
| 2011.04.06 14:05
완경, 막연한 불안 대신 체력에 맞는 운동을!
완경이 오면 건강이나 체력이 그전에 비해 더 안 좋아질 거라는 막연한 불안감을 갖는 경우가 많다. 그런데 이러한 믿음을 뒤집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...
박은지
| 2011.03.31 01:41
절제와 준비를 배우는 노년기 신체활동
어떤 약, 어떤 운동이라도 인생의 모래시계를 결코 반대로 돌려놓지는 못한다. 다만 머리 위로 쏟아지는 시간의 무게에 몸을 지탱하지 못하고 짓눌리느 ...
박은지
| 2011.03.18 10:14
‘여성사망원인 1위’심혈관질환 바로알기
보통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는 암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남성 사망원인 1위가 암이고, 여성의 경우에는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...
박은지
| 2011.03.01 06:26
태극권, 걷기, 자전거… 그리고 ‘핑크 리본’
우리나라에서도 지난 10월에 유방암의 달을 맞아 유방암 수술을 받은 환자들이 분홍색 우산을 쓰고 서울광장을 걷는 퍼레이드를 하고, 난타 공연을 하기 ...
박은지
| 2011.01.13 11:56
유방암, 신체활동으로 예방과 재활 이끈다
일주일에 3~5시간을 걷는 유방암 환자는 운동을 전혀 하지 않거나 일주일에 1시간미만으로 운동하는 환자에 비해 사망 위험이 절반으로 떨어졌다. 또한 ...
박은지
| 2011.01.10 11:08
여자들이 ‘더 많이 뛰어놀아야’ 하는 이유
활발한 신체활동은 완경기 여성들의 골손실을 억제하고, 골밀도를 증가시킨다. 운동을 하면 골격근이 긴장하게 되고, 뼈에 주어지는 기계적인 스트레스 ...
박은지
| 2010.12.27 09:59
넘어졌다고 부서진 뼈? 소리없는 위험 '골다공증'
주변에 누군가가 뼈나 힘줄을 다치면 농담 반 진담 반으로 “뼈 잘 붙으려면 곰탕에 수육 먹으러 가야지!”라고 흔히들 말하는데 사실은 그 반대다. 동 ...
박은지
| 2010.12.14 11:26
1
2
3
4
5
6
7
8
9
10
15
많이 본 기사
1
코로나 시대, 미등록 이주노동자와 같이 살아가는 법
2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3
남학생은 ‘자위’, 여학생은 ‘월경’에 대해 묻는다
4
‘관심군’ 선별…학교는 우리가 어떤 ‘몸’이길 바라는가
5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6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7
“여성살해를 멈춰라”…멕시코의 페미니즘 열기
8
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
9
노동자의 ‘다른 이미지’, ‘새로운 서사’를 쓴다는 것
10
코로나 시대야말로 “사후피임약을 약국에서”
사회
많이 본 기사
1
남학생은 ‘자위’, 여학생은 ‘월경’에 대해 묻는다
2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3
“우린 더 이상 우리가 영웅으로 느껴지지 않는다”
4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5
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
최신기사
빼앗긴 정체성과 권한을 되찾는 음악적 목소리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Listening to Women’s Voices at the Euljiro Redevelopment Site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