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1.01.26 [18:28]

전체기사 l 로그인 l ID/PW 찾기

배너
로고
사회노동녹색정치국경너머소수자 시선문화일다의 방English Article

검색

검색창 닫기

  • 일반
  • 평화
  • 성차별
  • 성폭력
  • 성매매
  • 정치/정책
  • 가족/관계
  • 의료/과학
  • 이주
  • 아시아
  • 세계
  • 퀴어
  • 장애
  • 십대
  • 영화
  • 책/문학
  • 음악
  • 여행
  • 만화/애니
  • 공연/전시
  • 매체비평
  • 인터뷰
  • 창작
  • 몸 이야기
의료/과학

‘낙태 죄’ 폐지할 시기에 한국에선 고발이라니…
아이러니하게도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(CEDAW)로부터 일본 정부가 형법의 ‘낙태 죄’ 폐지를 권고 받는 동안, 한국에서는 프로라이프 의사회가 현실 ...
림혜영, 윤정은   |   2010.03.15 19:08

“한국여성들, 안전하게 중절할 수 있길”
일본에서는 법적으로 ‘경제적 사유’로 인한 인공임신중절이 가능하기 때문에, 사실상 일본 여성들은 중절시술을 받는 데 큰 어려움이 없다는 것이다 ...
림혜영, 윤정은   |   2010.03.15 19:00

“경험으로 이야기하는 낙태”
“낙태를 최종 결정할 수 있는 선택권이 여성에게 주어져야 한다는 것이지, 낙태하도록 종용하거나 생명을 무시하자는 것이 결코 아니다. 여성주의자들 ...
조이여울   |   2010.02.19 06:02

낙태, 한쪽 문 닫는다고 문제가 해결되나
겉으로 보기엔 ‘의사 대 의사’구도로 벌어진 것이지만, ‘임신’과 ‘낙태’가 여성의 몸에서 일어나는 일인만큼 당사자인 여성들의 상황은 다급해 ...
조이여울   |   2010.02.03 16:00

몸의 고통과 함께 하는 삶
한 이웃이 유방암 수술을 받고 퇴원했다는 소식을 듣고 병문안을 갔다. 암이 진행되어 임파선을 모두 제거했다고 하니, 앞으로 그녀가 겪을 고통이 적지 ...
이경신   |   2009.11.30 04:45

서서히 모습드러낸 ‘의료민영화’ 청사진
국민의 건강을 놓고 장사하려는 정책을 우리는 보통 ‘의료민영화’라고 부른다. 의료서비스를 시장에 내놓아, 장사꾼들이 더 많은 돈을 벌도록 하겠다 ...
김창보   |   2009.08.30 19:12

알레르기와 함께 해야 건강하다?
알레르기는 면역체계 중 유일하게 순식간에 반응하는 면역글로블린- E 체계와 관련되고, 정확히는 알지 못하지만 어떤 유익한 기능을 할 것이라는 것이 ...
이경신   |   2009.06.29 08:58

의사도, 약도 맹신해서는 안 된다
사람들은 몸이 아프다 싶을 때 각기 다른 해결책을 찾는다. 약국부터 가는 사람, 근처 가정의나 보건소를 찾아가는 사람, 감기가 걸려도 대학병원 전문 ...
이경신   |   2009.04.13 09:59

유전자 조작으로 우수한 사람들만?
매스컴이나 여론에서는 생명공학을 우리가 추구해야 할 첨단과학쯤으로 다룰 때가 많다. 그러나 나는 아이들이 그것의 이면에 담겨있는 걱정스러운 점 ...
정인진   |   2009.03.23 09:47

말기환자 위한 호스피스 제도 보장돼야
‘호스피스’란, 환자가 사망하기 전까지 견뎌내야 하는 참을 수 없는 육체적 고통을 감소시키고 환자의 마음에 평화를 가져다 주는 것을 의미한다. 환 ...
이경신   |   2009.02.17 01:48
 1  2  3  4  5  6  7  8  9  10 다음  15 
  • 상세검색
많이 본 기사
1
코로나 시대, 미등록 이주노동자와 같이 살아가는 법
2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3
남학생은 ‘자위’, 여학생은 ‘월경’에 대해 묻는다
4
‘관심군’ 선별…학교는 우리가 어떤 ‘몸’이길 바라는가
5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6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7
“여성살해를 멈춰라”…멕시코의 페미니즘 열기
8
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
9
노동자의 ‘다른 이미지’, ‘새로운 서사’를 쓴다는 것
10
코로나 시대야말로 “사후피임약을 약국에서”
사회 많이 본 기사
1
남학생은 ‘자위’, 여학생은 ‘월경’에 대해 묻는다
2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3
“우린 더 이상 우리가 영웅으로 느껴지지 않는다”
4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5
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
최신기사
빼앗긴 정체성과 권한을 되찾는 음악적 목소리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Listening to Women’s Voices at the Euljiro Redevelopment Sites

위로

일다 소개 ㅣ 만드는 사람들 ㅣ 일다의 친구들 ㅣ 연대와 협력 ㅣ 개인정보취급방침 ㅣ 기사제보 ㅣ 기사검색

copyright 2003 일다 All rights reserved. (유)미디어일다 110-81-87211
제호: 일다 | 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: 서울아00951 | 등록 2009-09-03 | 발행인 겸 편집인: 조여울 | 개인정보관리 및 청소년보호책임자 : 윤정은
주소: 04056 서울시 마포구 와우산로37길 48(동교동) 203 | 전화 02-362-2034 | 팩스 070-4106-2035 | 메일 : ilda@ildaro.com

by 인스정보기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