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1.01.26 [18:28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책/문학
‘추억’을 가꾸며 살아내는 노년
우리가 떠들어대는 인생사는 오류투성이고 꾸며낸 이야기 다발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. 그렇다고 해도 인생이 이런 불안정한 기억에 의지하지 않고 ...
이경신
| 2015.05.22 09:56
갇힌 말들의 환한 여행
“아무도 네 말을 듣지 않을 거다. 사람들은 너무 바빠서 다른 사람 말에 신경 쓰지도 않고 들을 시간을 내주지도 않는다. 그러니까 넌 이제 기도를 해라 ...
안미선
| 2015.05.12 10:48
유가족들의 언어…새로 써가는 기록
며칠 전, 열 살짜리 아이가 학교를 마치고 오다가 말했다. “엄마, 나 수영 못하는데…” 내가 무심코 넘겼는데 몇 번이고 같은 말을 한다. 그러더니 낮 ...
안미선
| 2015.04.23 20:57
‘두 번째 사춘기’라는 즐거운 소식
개인차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더라도 오늘날의 ‘중년’이란 30대 후반에서 60대 중반까지, 즉 노년이 시작되기 직전까지 제법 수십 년에 걸쳐 있는 시기 ...
이경신
| 2015.04.11 12:12
신사임당 동상 앞에서
세상에는 정답이 없는데, 이 오래된 고등학교는 아직 정답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군다. 여전히 자리 잡고 있는 동상과 구호들, ‘하면 된다’는 다그침 ...
안미선
| 2015.04.08 00:58
아이들도 죽음을 충분히 슬퍼할 수 있다
딸이 죽음과 관련한 질문들을 꺼내놓으면 어머니는 담담하고 솔직하게 대답해 준다. 어머니는 죽음에 대해 거짓말이나 공상을 섞지 않는다. ...
이경신
| 2015.03.21 10:14
나혜석의 마지막 독백
언제나 사는 길을 택해왔다. 길이 있어 정한 것이 아니라 살려고 하면 그 길밖에 없었다. 청춘일 때도, 사람이 마음만 먹으면 못할 것이 없다고 이를 물 ...
안미선
| 2015.03.11 00:06
매일 호랑이를 만나는 워킹맘의 이야기
그림책이라면 먼저 상상하게 되는 말랑말랑하거나 부드러운 느낌보다는 네온사인과 빌딩 창문으로 제목을 구성했기 때문인지 현대 도시의 느낌이 강하 ...
오승원
| 2015.03.10 10:07
너를 따돌리는 이유
가장 불편한 감정을 “관계의 공기와 빛”에 노출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소녀들에게 매우 중요하다. ...
안미선
| 2015.02.22 13:34
죽어가는 사람 곁에서 얻는 “고마운 선물”
“어머니의 꺼져가는 삶이 얼마나 오래 계속 될지 알았더라면 이 일을 하겠다는 용기를 낼 수 있었을까?” ...
이경신
| 2015.02.18 22:10
1
2
3
4
5
6
7
8
9
10
37
많이 본 기사
1
코로나 시대, 미등록 이주노동자와 같이 살아가는 법
2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3
남학생은 ‘자위’, 여학생은 ‘월경’에 대해 묻는다
4
‘관심군’ 선별…학교는 우리가 어떤 ‘몸’이길 바라는가
5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6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7
“여성살해를 멈춰라”…멕시코의 페미니즘 열기
8
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
9
노동자의 ‘다른 이미지’, ‘새로운 서사’를 쓴다는 것
10
코로나 시대야말로 “사후피임약을 약국에서”
문화
많이 본 기사
1
상처 입은 ‘외눈 고양이’를 대하는 소녀의 태도
2
10년 가까이 레이블과 싸워 권리를 쟁취한 틴-팝스타
3
빼앗긴 정체성과 권한을 되찾는 음악적 목소리
최신기사
빼앗긴 정체성과 권한을 되찾는 음악적 목소리
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‘재난경보 문자’들
‘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’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
‘낙태죄’ 사라진 한국, “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”
Listening to Women’s Voices at the Euljiro Redevelopment Site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