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5.01.15 [10:32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녹색정치
내 쓰레기통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것은
내 도시 생활에 관한 이야기가 끝났다. 총계를 내자면, 나는 1년에 플라스틱이 들어간 물건을 사는 데 521,700원을 사용한다. ...
초
| 2025.01.07 12:18
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지구는 없다
선진국들에게 ‘플라스틱 쓰레기 수출을 멈춰달라’며 호소하던 인도네시아 소녀 니나. 5년 후인 2023년에도 똑같은 시위를 하고 있었어요. ...
김가람
| 2025.01.01 22:07
식생활과 쓰레기
나는 중노동을 하지 않으니 대식(大食)할 필요가 없고, 학식 값으로 아주 적은 돈만 지출하지만, 학식은 대식을 전제로 다량의 음식을 제공한 ...
초
| 2024.12.27 20:58
“K팝 플라스틱 앨범 과잉생산과 폐기” 계속 항의할 것
케이팝포플래닛은 팬들에게 앨범 중복 구매를 조장하는 마케팅 상술을 중단하고, 앨범 관련 온실가스 배출량을 공개하고 감축 계획을 세울 것을 4대 엔 ...
김나연
| 2024.12.26 13:43
우리가 플라스틱에 대해 모르거나 잘못 알고 있는 것들
인류는 성공의 경험이 있습니다. 미나마타 협약을 통해 수은의 생산, 거래, 사용을 대폭 줄였고, 몬트리올 의정서를 통해 프레온 가스를 규제해서, 오존 ...
김보연
| 2024.11.26 10:25
물은 원래 ‘지구별’ 것이니까
‘제주에서 사용되는 물은 천연 암반을 따라 정수된 지하수라는데, 왜 제주 사람들조차 플라스틱병에 담긴 생수를 사서 마실까?’ ...
이경아
| 2024.11.19 10:42
로션부터 립밤과 선크림까지 ‘바르는’ 경제
주로 사용하는 바디로션에는 펌프가 있다. 언니가 이사 가면서 주고 간 바디로션이다. 펌프형은 끝까지 쓰기 정말 곤란하다. 내 돈으로 산다면 나는 항 ...
초
| 2024.11.16 08:19
야생의 감각, 자연의 눈으로 세상을 봐
이제는 꿀벌이 줄어 사람이 손으로 직접 수분(受粉)을 하는 시대가 되어버렸다. 그리고 곤충을 비롯한 생물 종의 감소에 대한 심각한 징후는 세계 곳곳 ...
정이예슬
| 2024.11.13 10:44
욕실의 플라스틱, 수요 넘어서는 공급
사회적 미의 기준에 길들여진 탓인지, 여드름 없는 피부는 포기하지 못하겠다. 아마 올해 한 번쯤은 더 클렌징폼을 살 것 같다. ...
초
| 2024.11.02 10:10
내 옷장에 플라스틱 옷이 몇 벌이나 있을까
현대인의 옷 중 다수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. 기숙사에 있는 내 옷장을 열어 보자. 옷장의 왼쪽 위부터 오른쪽 아래까지 훑은 내역이다. ...
초
| 2024.10.22 10:08
1
2
3
4
5
6
7
8
9
10
62
많이 본 기사
1
어떻게 하면 잘 아프고, 잘 쉬고, 또 일할 수 있을까?
2
도쿄고등법원 ‘동성혼 인정’ 5가지 핵심 근거
3
해일 앞에서, 우리는 용감한 우정을 나눌 것이다
4
우리가 함께 만든 광장, 배제하지 않고 연결되어
5
암 진단받았을 때만 해도 직장을 잃을 줄 몰랐다
6
전쟁에서 일어난 일을 어떻게 기록하고 애도할 것인가?
7
‘남태령 대첩’ 이후, 여성과 소수자가 열어갈 세상
8
당사자 자조모임과 ‘동료’가 왜 중요하냐고요?
9
내 쓰레기통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것은
10
성적 권리로서 ‘동의’를 말한다
녹색정치
많이 본 기사
1
내 쓰레기통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것은
2
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지구는 없다
3
식생활과 쓰레기
4
“K팝 플라스틱 앨범 과잉생산과 폐기” 계속 항의할 것
최신기사
Couldn’t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be expanded to include care work?
도쿄고등법원 ‘동성혼 인정’ 5가지 핵심 근거
전쟁에서 일어난 일을 어떻게 기록하고 애도할 것인가?
암 진단받았을 때만 해도 직장을 잃을 줄 몰랐다
우리가 함께 만든 광장, 배제하지 않고 연결되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