장마철의 ‘어쩌다 빛’

<여자가 쓰는 집과 밥 이야기> 글의 후반부에 들어가며

김혜련 | 기사입력 2017/02/04 [14:24]

장마철의 ‘어쩌다 빛’

<여자가 쓰는 집과 밥 이야기> 글의 후반부에 들어가며

김혜련 | 입력 : 2017/02/04 [14:24]

※ <학교종이 땡땡땡>, <남자의 결혼 여자의 이혼>을 집필한 김혜련 작가의 새 연재가 시작됩니다. 여자가 쓰는 일상의 이야기, 삶의 근원적 의미를 찾는 여정과 깨달음, 즐거움에 대한 칼럼입니다. -편집자 주

 

장면 1.

 

겨울 들판에 찌르레기가 난다. 수십 마리가 공중 쇼를 하듯 위로 솟구치다가 갑자기 선회한다. 사십오도 각도로 비스듬한 급 하강! 순간 새들의 하얀 배가 햇살에 투명하게 ‘화들짝’ 드러난다. 아, 아, 눈이 부시다.

 

“챠르르, 챠르르..”

 

어느 시인의 표현대로 ‘쌀 씻는 소리’로 노래하며 찌르레기들은 겨울 들판을 난다. 새들이 선회하는 방향을 따라 내 몸도 기운다. 내 몸 안에서도 ‘챠르르 챠르르’, 경쾌한 쌀 씻는 소리가 환하게 들린다.

 

▶ 황량하고 너른 겨울의 들판.  ⓒ김혜련

 

장면 2.

 

“고라니다!!!~”

 

갑자기 논 한 가운데서 고라니 한 마리가 껑충 솟아오른다. 푸른 지평선이 일시에 출렁인다. 여름 한낮, 벼들 가득한 들판. 벼가 자라는 소리가 들릴 만큼 고요하다. 그 빽빽한 고요를 뚫고 고라니가 뛴다.

 

고라니가 포물선을 그리듯 두 다리를 허공에 딛고 튀어 오를 때, 대기는 폭발할 듯 튕겨져 나온다. 내 몸에서도 순간 폭발할 것 같은 생기가 함께 터진다. 고라니의 엉덩이와 뒷다리의 발달된 근육이 땅을 박차고 몸을 허공으로 떠오르게 하듯, 내 갈비뼈 어딘가가 근질거리다 허파를 박차고 터져 나오는 커다란 숨소리. 고라니는 들판을 달리고 나는 소리 내어 웃는다. 고라니와 내 몸은 순간 하나다!

 

장면 3.

 

며칠 비운 집 뜰이 썰렁하다. 뒤뜰에 가득 피어있던 봉선화들이 다 사라졌다. 줄기만 앙상하게 남아있다. 수런수런 피어나 여름 뜰을 붉게 밝히던 꽃들은 없다. 잎들도 거의 사라졌다. 가슴이 철렁하다.

 

‘누군가 담을 넘어 와 꽃을 따 갔구나.’

 

불안이 얼룩처럼 스멀스멀 피어오른다.

 

‘담이 너무 낮아, 좀 더 높게 쌓아야 해. 더 큰 일이 나기 전에 해야지, 시골에서 혼자 사는 여자들, 흉한 일 당하는 경우 많잖아. 아, 아, 무서워…’

 

피해의식과 공포는 천리만리를 달린다.

 

잠시 후 앞뜰의 봉선화들이 눈에 들어온다. 그것도 마찬가지로 줄기만 남았다. 가까이 다가가 보니 검은 줄무늬의 커다란 벌레가 봉선화를 갉아 먹고 있다. 호랑나비 애벌레다.

 

비로소 제 정신이 든다. 방금 전의 생각이 얼마나 터무니없이 황당한 것인지 깨닫는다. 어느 누가 봉선화를 따러 남의 담장을 넘어 온단 말인가?

 

장면 4.

 

저녁 때 하늘(개 이름)이를 데리고 산책을 나간다. 늘 그렇듯 밖에만 나가면 제멋대로 달아나려 한다. 마당에 풀어놓고 기르는데도 밖에만 나가면 거의 광(狂)적이다. 이런 하늘이는 내가 원하는 ‘사랑스런’ 하늘이가 아니다.

 

“천천히 가자~”
“헥헥헥 헥헥헥…”

 

“천 천 히 가 자~” (다섯 번째 하는 말, 힘이 잔뜩 들어가 있다.)
“헥헥헥헥 헥헥헥헥…”(더 헥헥대며 달아나려 한다.)

 

헥헥거리며 자꾸 달아나려고 하는 하늘이의 모습을 오늘 따라 유난히 참아주기 힘들다. 내 안에서 전자동으로 튀어 나오는 것들이 있다. “개 주제에 왜 날 무시하는 거야?” 낮은 자존감, “확 걷어 차 버리고 싶어!” 낮은 자존감의 다른 자매(姉妹), 분노!

 

하늘이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 내가 보이는 반응이다. 하늘이를 대하는 나를 보면, 내가 나 자신과 세상을 어떻게 대하는지를 알게 된다. 그것들이 왜 내 안에 있는지를 아는 것과 그것들이 사라지는 일은 다른 일이다. 나는 여전히 나와 타 생명에게 이런 마음을 낸다. 씁쓸히, 아주 씁쓸히 그런 나를 본다.

 

▶ 봄 냉이 밭의 하늘이.  ⓒ김혜련

 

내 삶은 ‘어쩌다 햇살’일 뿐

 

장면 1, 2의 나는 살아있다. 생명의 빛으로 환하다. 전원생활의 아름다움이나 자연과의 합일을 보여주는 근사한 이미지로 손색이 없을 것 같다. 뭔가 다 이룬 자의 모습 같기도 하다.

 

장면 3, 4의 나는 평생 그래왔듯 피해의식에 사로잡힌 겁쟁이 ‘벌벌이’이자, 분노에 차 있는 ‘깡패’다. 이런 내게 평화는 멀다. 여전히 나는 세상을 믿지 못하고 나를 믿지 못한다.

 

둘 다 이곳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한지 십년쯤 된 나의 모습이다. 장면 5, 6, 7… 다양한 내가 있을 것이다. 그 중 그럴 듯한 장면 1, 2류만 쓰는 게 이 글의 목적은 아니다.

 

평생 살아온 습관과 생활양식을 바꾸는 일은 긴장과 오류의 연속이다. 그러다 어쩌다 빛 한 줄기 들어온다. 그 ‘어쩌다 빛’에 초점을 맞추면 마치 삶 전체가 빛인 것 같다. 하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. 기나긴 장마철에 어쩌다 햇빛도 난 날이 있는 것이다.

 

나는 평생 자기초월을 꿈꾼 사람답게 여전히 자기초월을 위해 애쓴다. 다만 그 방향이 바뀌었을 뿐이다. 젊은 시절, 그 초월이 ‘저 너머 어딘가’에 있을 거라고 여겼다면 이제는 ‘지금 여기’에 있다고 생각한다. 나 밖이 아닌, 여기 일상 안에서의 내재적 초월을 꿈꾼다.

 

그러니 내 삶은 다 이루고, 쉬고 있는 자의 평화를 이야기할 수가 없다. 삶 속에서 언제나 자신과 직면하는 내적 긴장이 팽팽히 있다. 아마도 죽는 순간까지 그럴 것이다. 난 그런 종류의 인간인 것이다.

 

달라진 것이 있다면 ‘강박적 자기추구’가 아니라는 점이다. 주어진 삶, 다가오는 삶을 부지런히 살려고 할 뿐이다. 이를테면 ‘즐거운 밥하기’는 부지런히 쌓아가야 하는 일이 되었지, 반드시 이루어야할 강박적 추구가 아니다.

 

몸 돌보기 또한 온갖 건강서를 뒤지고 의학 지식을 찾고 하는 일이 아니라, 내 몸과 더불어 있는 일이 되었다. 아픈 몸과 함께 잘 지내는 법을 터득하고 때로는 아픔을 그저 아픔으로 받아들이는 일이 되었다. 집을 가꾸거나 농작물을 돌보거나 어떤 일을 하든 마찬가지다.

 

장면 1, 2도 장면 3, 4도 장면 5, 6, 7…도 다 나다. 아마도 집과 자연의 경이와 아름다움들은 장면 1, 2류가 될 것이다. 몸과 밥, 마음에 관한 글들은 장면 3, 4류에 속할 것이다. 장면 1, 2는 스스로 고무될 것이고, 장면 3, 4는 지리멸렬할 것이다.

 

글이라는 속성상 아마도 장면 1, 2류가 더 많이 드러날 것이다. 지리멸렬한 장면 3, 4류를 계속 쓰기는 쉽지 않다. 내 삶은 ‘어쩌다 햇살’일 뿐이다. 그 햇살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글을 쓰겠지만, 그것이 ‘어쩌다 빛’이라는 것만은 밝히고 싶다.

 

▶ 여름 뒤뜰의 봉선화.  ⓒ김혜련

 

그 빛은 그저 주어지는 게 아니라 ‘창조’된다

 

그러나 장마철에 ‘어쩌다 햇살’은 잠깐 반짝이다 사라지는, 허망한 순간은 아니다. 그 빛이 실은 장마철을 뚫고 나가는 힘이 된다.

 

빛은 그저 주어지는 게 아니다. 찌르레기의 군무(群舞)를 보기 위해서는 겨울의 들판을 매일 걸어야 한다. 찌르레기는 여름새지만 번식기가 끝난 겨울에서 봄까지는 무리지어 날아다닌다. 그 모습은 시인이 ‘환한 봉분이 하나 보인다’고 노래할 만큼 신비롭다. (장석남의 시 ‘새떼들에게로의 망명’)

 

춥고 황량한 겨울 들판을 일정한 시간 매일 걸어서, 어느 날엔가 찌르레기 무리를 만나게 된다. ‘챠르르 챠르르’ 쌀 씻는 아름다운 노래 소리와 환한 가슴살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. 그 순간 내 몸에서 피어나는 햇살!

 

빛은 그렇게 ‘창조’된다. 매일 걷는다는 ‘아무 것도 아닌’ 반복적 행위가 없으면 빛도 없다.

 

앞으로의 글이 ‘아무 것도 아닌’ 세계가 어떻게 빛을 창조하는지, 그 과정을 섬세하게 보일 수 있는 글이 되었으면 좋겠다.

 

‘어쩌다 빛’을 기린다.

이 기사 좋아요
  • 도배방지 이미지

  • Idaho 2017/02/08 [14:42] 수정 | 삭제
  • 겸허한 글이 위안을 주네요~
광고
광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