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2.05.28 [10:42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성폭력
성범죄 미성년 피해자를 가해자 앞에 세울 것인가?
19세 미만 성폭력 피해자도 소송과정에서 증인소환 시 직접 법정에 출석해 반대신문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. ...
박주연
| 2022.02.09 11:13
성범죄 피해자가 잘 살아갈 수 있는 나라
계속 유포되는 피해물의 굴레에, 매일밤 자신의 피해물을 찾아 헤매는 이들도 있다. 자신의 피해물을 보려면, 불법성착취사이트에 일정 비용을 지불해 ...
추적단불꽃
| 2022.01.12 13:15
성폭력 피해자가 온당히 ‘손해배상’ 받을 수 있어야
대부분의 아동성폭력이 집단생활이나 공동생활 또는 친밀한 관계에 있는 상황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이 ‘친밀성’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을 때까지 시 ...
박주연
| 2021.12.03 13:48
데이트폭력 경험 이후 ‘나는 달라지기로 했다’
가끔 내 20대 좋은 시절이 그 때문에 날아갔고, 그 후유증까지 합치면 나를 몇 년을 고생시키는 건가 싶기도 하지만, 그가 뭐라고 내 인생을 휘두르게 놔 ...
연아
| 2021.10.09 12:36
성관계에서 ‘좋았어?’ 질문 대신 묻고 말해야 할 것
성적 행위를 하기 전에 동의를 구하거나 합의를 하는 것이 과하다는 듯이 말하지만, 실제로 계약서를 쓴다면 어떻게 될까? ...
박주연
| 2021.10.06 21:10
나의 피해사진과 영상은 아직도 유포되고 있다
나는 죽을 만큼 힘든데 누군가에게는 재밌는 일이고 흥미로운 일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 충격적이었다. ...
하나
| 2021.09.30 18:46
나의 섹스에 사회적 선입견과 통념이 관여하고 있다!
그 이야기의 공통점은 ‘적극적 합의’가 개인 간의 일로 보이지만, 실제로는 사회문화적 맥락과 문화 그리고 사회 환경과 연결된 일이라는 것이다. ...
박주연
| 2021.08.01 17:40
15년전 초등학생이던 내가 겪은 성폭력을 ‘대면하다’
하지만 바뀌지 않은 게 있었다. 남자 앞에서는 여전히 어린 시절의 나로 멈춰 있다는 사실이다. ...
이레
| 2021.07.29 20:11
디지털 성범죄를 겪고 ‘살아남은 자’의 목소리
“가해자들은 전공을 가지고 나쁜 쪽으로 사용했어. 학교의 가르침대로 예술을 사용하는 것은 다름 아닌 우리들이야.” ...
최은
| 2021.07.20 11:12
아빠의 성폭력, 공소시효 지났지만 내 싸움은 진행 중
한때 나는 ‘생존자’란 이름이 너무 무겁고, 죽다 살아온 것처럼 연극적이라고 생각했다. 그러나 우리는 ‘생존자답게 죽지 말고 자연사하자’고 다짐 ...
푸른나비
| 2021.06.25 09:24
1
2
3
4
5
6
7
8
9
10
27
많이 본 기사
1
‘선거일은 유급 휴일’ 우린 왜 출근해야 하지?
2
제주도에 오는 관광객 수를 줄여야 한다
3
‘김여사’를 만든 사회에서, 내 삶의 운전대 잡기
4
포켓몬고로 접속한 용산 기지생태계
5
고교 실습생도 노동자…‘학벌 정치’에 도전장 낸 이유
6
발달장애인을 위한 투표소는 없다
7
사랑은 낯선 길을 떠나는 것이야
8
장애 ‘여성’에게 이동권은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
9
육아, 간병…돌봄의 시간도 ‘경력’으로 인정받아야
10
동물에겐 표가 없다, ‘지구공유자’ 우리 손에 달렸다
사회
많이 본 기사
1
거주할 권리, 재생산의 권리
2
‘선거일은 유급 휴일’ 우린 왜 출근해야 하지?
3
고교 실습생도 노동자…‘학벌 정치’에 도전장 낸 이유
4
‘김여사’를 만든 사회에서, 내 삶의 운전대 잡기
5
발달장애인을 위한 투표소는 없다
최신기사
거주할 권리, 재생산의 권리
Hate crimes against Asian women are not coincidental
‘선거일은 유급 휴일’ 우린 왜 출근해야 하지?
고교 실습생도 노동자…‘학벌 정치’에 도전장 낸 이유
‘김여사’를 만든 사회에서, 내 삶의 운전대 잡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