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3.12.03 [19:40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일반
느슨해도 좋으니까 ‘안전한 마을’을 만들어가자
머시기마을이 진짜 마을이 된다면, 거점의 공간과 거점으로 삼을 수 있는 철학이 생긴다면, 어떤 일이 벌어질까? ...
하윤
| 2022.01.24 19:40
우리에겐 이미 서사가 있다
월요일 자정이 가까워지면 사과와 격려로 분주해지는 카톡방이 있다. 이 사람들은 왜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제 발로 글방을 찾아와 매주 자신을 괴롭 ...
미성
| 2022.01.18 19:30
‘아프면 쉬기’ 누군가엔 허울뿐인 그 말
그때는 알지 못했다. 어미 속을 문드러지게 하는 수준일지언정 누군가가 준비해주는 점심, 또래들과 함께 먹는 점심이 귀해질 날이 오리란 걸. ...
송지현
| 2020.12.05 11:04
2000일 넘도록 멈춰선 ‘세월호의 시간’
. ...
화사
| 2019.10.23 19:51
‘메갈 세대’ 페미니스트들이 여성학을 만났을 때
. ...
송유진
| 2019.10.10 09:11
여성 서사만큼이나 여성주의 번역도 중요해요
. ...
박주연
| 2019.09.25 21:02
양공주, 자유부인, 위안부…한국의 ‘여성혐오’史
. ...
허윤
| 2019.09.22 09:12
총여는 폐지됐지만, 페미니스트들은 2막을 열었다
. ...
노서영
| 2019.09.08 19:11
여자에겐 자기만의 방과 바이크가 필요하다
, ...
바르니
| 2019.08.21 10:38
‘대학에서 싸우는 여자들’은 사라지지 않는다
. ...
박주연
| 2019.06.13 20:11
1
2
3
4
5
6
7
8
9
10
41
많이 본 기사
1
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
2
국경을 열고 “우리는 할 수 있다”…독일은 지금
3
“부산 갈 테니 기다려,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”
4
이혼의 공포도, 나이듦의 공포도 ‘오류’가 많다
5
생계와 가치,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
6
어느 홈리스 여성이 남긴 기록, ‘쓸모 없어 빛나는’ 세계
7
“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” 독일판 깻잎 투쟁기
8
“다들 자기만의 어려움이 있잖아요? 서로에게 친절해져요”
9
당신을 발견해주는 친구
10
먹는 임신중지약 승인한 日, 그런데 ‘제한’이 많다고?
사회
많이 본 기사
최신기사
소멸과 필멸, 그리고 불멸
“부산 갈 테니 기다려,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”
국경을 열고 “우리는 할 수 있다”…독일은 지금
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
The Victim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Raised Her Banner: “I Didn’t Back Down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