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3.12.03 [19:40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평화
‘쓸모없음’의 사상에 저항하라
‘쓸모없음’의 사상을 생각하기 위해서는 그 ‘쓸모없음’이 ‘권력자’에게 있어서의 ‘쓸모없음’이라고 바라보는 관점이 중요합니다. ...
가시와라 토키코
| 2023.10.22 19:51
분단 사회에서 페미니스트로 살아가기
마리아 미즈는 “가부장제의 평화가 여성에게는 전쟁”이라고 말한다. 전쟁과 폭력이 명분으로 삼는 ‘안전 보장’이라는 개념에 같이 도전해보는 것 ...
영철
| 2022.08.16 10:57
베트남전 민간인학살 국가배상소송, 원고 탄 씨의 말들
응우옌티탄 씨는 2015년 처음으로 한국에 방문했고, 한국 시민들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전했다. “참전군인들에게 사과 한 마디를 듣고 싶어서”였다. ...
박주연
| 2022.08.12 19:51
피해 중심의 서사가 아닌 ‘가해자의 자리를 묻다’
가해자는 애초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, ‘가해자성’을 인정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존재하게 된다. ...
심아정
| 2022.04.18 17:22
비키니 사건…‘죽음의 재’ 쏟아진 참치어선을 기억하라
"오이시 씨가 오랜 침묵을 깨고 말하기 시작한 것은 1983년부터입니다. 오이시 씨는 비키니 사건 후 ‘돈을 받았다’, ‘방사능이 전염된다’ 등의 말 ...
무로타 모토미
| 2022.04.10 09:41
‘전시 성폭력’은 계속되고 있다, 연대도 계속돼야 한다
전시 성폭력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선 “지속적으로 피해자와 연대하고, 피해자들의 회복과 재활을 돕는 것, 법정 투쟁을 지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가해 ...
박주연
| 2022.03.08 14:13
병역거부, 무기거래 감시…금기에 도전한 사람들!
(여성으로서) 이 운동에 진입 장벽이 있다고 느낀 이후로, 전 이 운동을 페미니즘 운동이라고 생각했어요. ...
박주연
| 2021.12.29 11:03
강정 해군기지 반대 운동은 오늘도 계속되고 있다
강정 지킴이들은 여전히 해군기지 앞에서 ‘해군기지 반대 싸움’을 하고 있다. “강정 지킴이들은 그냥 ‘다르게’ 사는 사람들인 것 같아요." ...
림보
| 2021.11.28 09:58
사드를 빼낼 때까지! 소성리의 ‘싸우는 평화’
“싸우는 사람들이 여기 있고, 끝나지 않았다고 생각을 하잖아요. 우리가. 사드를 빼낼 때까지. 하루하루 이겨낼 수 있는 건 내가 행동을 하고 있으니까 ...
하은
| 2021.09.23 18:20
위안부와 현재 젠더기반 폭력 피해자의 교차적 ‘증언’
특히 이러한 차별과 폭력은 “여성이라는 사실이 종족, 인종 또는 종교적 소수민의 지위와 결부될 경우”에 일어나기 쉽다. ...
신지영
| 2021.09.22 11:47
1
2
3
4
5
6
7
8
9
10
23
많이 본 기사
1
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
2
국경을 열고 “우리는 할 수 있다”…독일은 지금
3
“부산 갈 테니 기다려,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”
4
이혼의 공포도, 나이듦의 공포도 ‘오류’가 많다
5
생계와 가치,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
6
어느 홈리스 여성이 남긴 기록, ‘쓸모 없어 빛나는’ 세계
7
“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” 독일판 깻잎 투쟁기
8
“다들 자기만의 어려움이 있잖아요? 서로에게 친절해져요”
9
당신을 발견해주는 친구
10
먹는 임신중지약 승인한 日, 그런데 ‘제한’이 많다고?
사회
많이 본 기사
최신기사
소멸과 필멸, 그리고 불멸
“부산 갈 테니 기다려,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”
국경을 열고 “우리는 할 수 있다”…독일은 지금
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
The Victim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Raised Her Banner: “I Didn’t Back Down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