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3.12.03 [19:40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노동
생계와 가치,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
기후위기 대응을 말하는 활동가인 한편, 사람들에게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상품을 팔아야 하는 보험설계사. ...
현
| 2023.11.27 20:39
“다들 자기만의 어려움이 있잖아요? 서로에게 친절해져요”
대학교에서 미술모델 겸 누드모델로 일해요. 가끔 일주일에 한 번씩 스탠드업 코미디 오픈 마이크에 가서, 별로 안 웃긴 농담을 하고 있어요. ...
한솔
| 2023.11.20 18:09
‘너 뭘 하고 싶어?’ 저 자신한테 계속 묻는 것 같아요
‘아, 정해진 틀이라는 것도 내가 만들었구나. 내가 만든 틀 속에 내가 갇혀 있었던 거구나’ 깨달았어요. ‘다른 사람들의 말, 특히, 나를 모르는 다른 ...
영
| 2023.11.14 11:28
차별의 공통분모…우리는 좀더 연결될 필요가 있다
모드가 있는 금속노조는 2021년에 ‘모범단협’을 만들기도 했다. 성별과 소수자성 등을 이유로 차별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이 담겼다. ...
희정
| 2023.11.09 11:01
일터에서 커밍아웃 할 수 없는 이유
수자 노동 문제를 다루는 어떤 자리에서건 주요하게 나오는 이야기는 ‘드러냄’. 그러니까 주체가 만들어지는 문제이다. ...
희정
| 2023.11.08 11:06
‘돌봄을 하지 않는 노동자’만 들어올 수 있는 일터?
평소에 자녀가 아픈 걸로 휴가를 썼다? 그러면, 어휴, 책임감 없어. 팀장은 휴가를 쓸 거면 “문제 없게 하고 가라” 하거든요. ...
희정
| 2023.10.15 18:24
여성 비율 높지만, 여성에게 좋은 일터는 아니거든요
임신과 출산이라는 생애주기의 한 과정이 ‘문제’가 되어버리는 억울한 심정을 아는 여자들은, 나와 내 주변의 여자들이 이 직장을 다닐 수 있도록 무 ...
희정
| 2023.10.12 11:28
“尹정부 고용평등 포기선언” 민간 고용평등상담실 폐지에 분노
공적 시스템이 외면하거나, 공적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는 노동자들이 분명 존재하는 상황에서 민간 상담실을 없애는 건, 사각지대에 놓인 노동자들의 ...
박주연
| 2023.09.26 11:33
우리가 화장실 이야기를 더 많이 해야 하는 이유
학습지 방문 노동자였던 나의 어머니는 화장실로 인한 불편함을 겪고 싶지 않아, 일할 땐 물을 거의 마시지 않는다고 했다. 그게 버릇이 되어 신장에 문 ...
희정
| 2023.09.24 18:45
“방광염은 직업병” 일터 화장실을 조명하라
‘화장실에 의해 건강 문제를 겪고 있다’는 비율이 48.3%, ‘화장실과 관련한 심리적 문제(우울, 불안, 자존감 저하 등)가 발생한다’는 비율이 58.9%나 된 ...
희정
| 2023.09.22 18:54
1
2
3
4
5
6
7
8
9
10
69
많이 본 기사
1
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
2
국경을 열고 “우리는 할 수 있다”…독일은 지금
3
“부산 갈 테니 기다려,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”
4
이혼의 공포도, 나이듦의 공포도 ‘오류’가 많다
5
생계와 가치,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
6
어느 홈리스 여성이 남긴 기록, ‘쓸모 없어 빛나는’ 세계
7
“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” 독일판 깻잎 투쟁기
8
“다들 자기만의 어려움이 있잖아요? 서로에게 친절해져요”
9
당신을 발견해주는 친구
10
먹는 임신중지약 승인한 日, 그런데 ‘제한’이 많다고?
노동
많이 본 기사
1
생계와 가치,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
2
“다들 자기만의 어려움이 있잖아요? 서로에게 친절해져요”
3
‘너 뭘 하고 싶어?’ 저 자신한테 계속 묻는 것 같아요
4
차별의 공통분모…우리는 좀더 연결될 필요가 있다
5
일터에서 커밍아웃 할 수 없는 이유
최신기사
소멸과 필멸, 그리고 불멸
“부산 갈 테니 기다려,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”
국경을 열고 “우리는 할 수 있다”…독일은 지금
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
The Victim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Raised Her Banner: “I Didn’t Back Down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