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3.03.21 [20:46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국경너머
혐오가 아닌 대안, ‘약자남성’들의 출구찾기
여성들 사이에 있는 상호 카운슬링 같은 연대감의 경험을 남자들은 쌓지 못했어요. 생산주의나 능력주의에 수렴되지 않는 느슨한 공동성(the common)을 발 ...
조경희
| 2023.03.14 11:16
남자들에게 ‘약함’이란 무엇인가
전쟁 가해자 측도 상처를 입고 책임을 느끼는 건 당연한데, 그런 것이 없었던 건 아니지만, 세대 간에서 계승되지 않았죠. ...
조경희
| 2023.03.07 10:20
자기혐오를 투사하지 않기 위한 기술, ‘돌봄’
여성이나 재일코리안에 대한 헤이트, 혐한, 혐중 등이 실존적으로 바닥에 구멍이 난 사람들을 쉽게 흡수해버리는 힘이 되어버리고 있죠. ...
조경희
| 2023.03.01 14:41
‘취약성’을 키워드로 남성성을 분석하다
돈이 없거나 일이 없다는 사실, 혹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더 힘들어할 법한데 그거보단 연애를 못한다는 것, 누구에게도 사랑받지 못했다는 점이 가 ...
조경희
| 2023.02.28 11:27
네 ‘이웃’을 가두거나 쫓아내지 말라
한사람 한사람을 ‘있는 그대로’ 바라보았으면 좋겠어요. 내가 만난 그들은 그냥 나의 이웃일 뿐이었고, 행복할 권리가 있는 소중한 한 사람이었어요 ...
박주연
| 2023.02.24 20:40
페미니스트와 퀴어가 애쓰지 않아도 되는 헬스장
“다양한 장소에서, 다양한 사람과 운동과 몸의 해방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요. Ninaru는 다양한 모양이 되어갈 겁니다.” ...
가시와라 토키코
| 2023.02.19 21:19
‘생활고의 원인은 정치’…에콰도르 파업과 여성들
크리스 베가 교수는 여성들이 만들어낸 집회소가 거리에서의 직접행동과 동등하게, 혹은 그 이상으로 강렬한 ‘정치 현장’이 되었다고 말한다. ...
이와마 카스미
| 2022.12.15 12:16
日 여성의원 80%가 ‘동료의원에게 희롱당한 적 있다’
여성의원들이 유권자로부터 희롱을 마주할 뿐 아니라, 의회 내에서 동료 의원으로부터도 희롱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. ...
진나이 야스코
| 2022.12.04 12:06
‘임신중지 권리 후퇴시키지 마!’ 美 중간선거의 표심
이번 선거에서 민주당이 참패하지 않고 오히려 좋은 성적을 거둔 건, ‘임신중지권’을 지키고자 하는 시민들의 열망의 목소리 덕분이라는 건 의심의 ...
박주연
| 2022.11.15 13:26
수많은 외국인 아이들이 한국에서 자라고 있다
나는 2004년의 어느 일요일 서아프리카 토고라는 곳에서 태어났다. 태어나기 전날, 어머니와 아버지는 뮤지컬을 보고 있었다고 한다. 그래서인지 어릴 때 ...
피스로드
| 2022.10.29 19:28
1
2
3
4
5
6
7
8
9
10
80
많이 본 기사
1
혐오가 아닌 대안, ‘약자남성’들의 출구찾기
2
지상파 데뷔 이후, 굶기 시작했다
3
남자들에게 ‘약함’이란 무엇인가
4
학생의 양육자를 왜 ‘학부모’라 부릅니까?
5
‘혐오 토론’이 되기 쉽다, 혐오 사회에서는
6
퀴어축제, 도시 외곽이 아니라 도시 전체에서 열리던데요?
7
숫자가 아니라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죽을 수 있을까
8
‘우리가 옷을 입었든 벗었든. 내 몸으로 뭘 하든’
9
‘취약성’을 키워드로 남성성을 분석하다
10
‘먹는 행위’도 ‘굶는 행위’도 정치적인 것이다
국경너머
많이 본 기사
1
혐오가 아닌 대안, ‘약자남성’들의 출구찾기
2
남자들에게 ‘약함’이란 무엇인가
3
자기혐오를 투사하지 않기 위한 기술, ‘돌봄’
4
‘취약성’을 키워드로 남성성을 분석하다
5
네 ‘이웃’을 가두거나 쫓아내지 말라
최신기사
기후변화는 우리의 노동에 큰 혼란을 가져왔어요
‘먹는 행위’도 ‘굶는 행위’도 정치적인 것이다
‘우리가 옷을 입었든 벗었든. 내 몸으로 뭘 하든’
퀴어축제, 도시 외곽이 아니라 도시 전체에서 열리던데요?
‘혐오 토론’이 되기 쉽다, 혐오 사회에서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