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3.12.03 [19:40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세계
이혼의 공포도, 나이듦의 공포도 ‘오류’가 많다
“젊어 보이고 싶다”, “이제 나이 먹어 힘들어”, “그 나이에 대단하시네요!” 등, 누구든 생각하거나 말한 경험이 있지 않을까? ...
구리하라 준코
| 2023.11.25 22:12
에콰도르 교도소에서 탄생한 페미니스트 단체 이야기
“주말이 되면 고용주와 그 가족이 멋 부리고 미술관이나 공연장에 갔다. 나는 그런 장소에 입고 갈 만한 옷도 없었고, 나와는 상관없는 장소라고 느꼈 ...
이와마 카스미
| 2023.08.25 09:47
‘생활고의 원인은 정치’…에콰도르 파업과 여성들
크리스 베가 교수는 여성들이 만들어낸 집회소가 거리에서의 직접행동과 동등하게, 혹은 그 이상으로 강렬한 ‘정치 현장’이 되었다고 말한다. ...
이와마 카스미
| 2022.12.15 12:16
‘임신중지 권리 후퇴시키지 마!’ 美 중간선거의 표심
이번 선거에서 민주당이 참패하지 않고 오히려 좋은 성적을 거둔 건, ‘임신중지권’을 지키고자 하는 시민들의 열망의 목소리 덕분이라는 건 의심의 ...
박주연
| 2022.11.15 13:26
콜롬비아, 광산노동자 출신의 흑인 여성 부통령 탄생!
프란시아 마르케스는 활동가이자 광산노동자, 농업인, 가사도우미 등으로 일하면서 공부하며 자신이 사는 지역 커뮤니티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한 끝에 ...
이와마 카스미
| 2022.08.08 18:00
‘임신중지 접근성은 인권’ 에콰도르의 페미니스트들
우리는 강제된 임신과 모성에 복종하지 않고 다른 인생을 걸을 권리가 있다는 점, 낳을지 말지를 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사람은 자기 자신이라는 점을 ...
이와마 카스미
| 2022.05.07 09:55
우크라이나 난민 수용과 ‘공감의 차이’
“어떤 인도주의적 비극이 더이상 언론 헤드라인에 오르지 않으면 국제적인 관심을 덜 받고, 인도적 지원금도 줄어든다. 도덕적 무책임일 뿐 아니라 우 ...
하리타
| 2022.04.14 11:20
난민에게 국경을 열고 변곡점에 도달한 메르켈의 정치
자신의 이해관계를 관철하기 위해 혐오와 폭력이 도구로 사용되는 모든 자리에서, 민주시민으로서 우리는 더 이상 관용을 베풀지 말아야 합니다 ...
김인건
| 2021.12.10 16:34
숙고와 경청의 정치가 세계를 움직이다
독특한 리더십으로 독일과 유럽뿐 아니라 세계 정치의 중심에 섰던 메르켈 총리의 지난 16년을 돌아본다. ...
김인건
| 2021.12.09 11:21
국제사회는 아프간 여성들의 저항에 연대하라
9.11 충격 등으로 아프간은 갑자기 국제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기 시작했지만, 그것은 2003년 봄 이라크전쟁이 시작될 때까지의 일시적인 것에 불과했다. ...
기요스에 아이사
| 2021.11.19 13:45
1
2
3
4
5
6
7
8
9
10
16
많이 본 기사
1
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
2
국경을 열고 “우리는 할 수 있다”…독일은 지금
3
“부산 갈 테니 기다려,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”
4
이혼의 공포도, 나이듦의 공포도 ‘오류’가 많다
5
생계와 가치,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
6
어느 홈리스 여성이 남긴 기록, ‘쓸모 없어 빛나는’ 세계
7
“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” 독일판 깻잎 투쟁기
8
“다들 자기만의 어려움이 있잖아요? 서로에게 친절해져요”
9
당신을 발견해주는 친구
10
먹는 임신중지약 승인한 日, 그런데 ‘제한’이 많다고?
국경너머
많이 본 기사
1
국경을 열고 “우리는 할 수 있다”…독일은 지금
2
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
3
이혼의 공포도, 나이듦의 공포도 ‘오류’가 많다
4
“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” 독일판 깻잎 투쟁기
5
먹는 임신중지약 승인한 日, 그런데 ‘제한’이 많다고?
최신기사
소멸과 필멸, 그리고 불멸
“부산 갈 테니 기다려,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”
국경을 열고 “우리는 할 수 있다”…독일은 지금
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
The Victim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Raised Her Banner: “I Didn’t Back Down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