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2.05.28 [10:42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세계
‘임신중지 접근성은 인권’ 에콰도르의 페미니스트들
우리는 강제된 임신과 모성에 복종하지 않고 다른 인생을 걸을 권리가 있다는 점, 낳을지 말지를 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사람은 자기 자신이라는 점을 ...
이와마 카스미
| 2022.05.07 09:55
우크라이나 난민 수용과 ‘공감의 차이’
“어떤 인도주의적 비극이 더이상 언론 헤드라인에 오르지 않으면 국제적인 관심을 덜 받고, 인도적 지원금도 줄어든다. 도덕적 무책임일 뿐 아니라 우 ...
하리타
| 2022.04.14 11:20
난민에게 국경을 열고 변곡점에 도달한 메르켈의 정치
자신의 이해관계를 관철하기 위해 혐오와 폭력이 도구로 사용되는 모든 자리에서, 민주시민으로서 우리는 더 이상 관용을 베풀지 말아야 합니다 ...
김인건
| 2021.12.10 16:34
숙고와 경청의 정치가 세계를 움직이다
독특한 리더십으로 독일과 유럽뿐 아니라 세계 정치의 중심에 섰던 메르켈 총리의 지난 16년을 돌아본다. ...
김인건
| 2021.12.09 11:21
국제사회는 아프간 여성들의 저항에 연대하라
9.11 충격 등으로 아프간은 갑자기 국제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기 시작했지만, 그것은 2003년 봄 이라크전쟁이 시작될 때까지의 일시적인 것에 불과했다. ...
기요스에 아이사
| 2021.11.19 13:45
페미니스트 여행가이드가 안내하는 파리의 공간과 서사
시티투어 하나에도 이렇게 많은 정치가 담길 수 있다. 장소를 통해 사람과 사건을 기억한다. ...
하리타
| 2021.07.04 19:41
파리에서 살았던 여성들의 스토리텔링을 따라가는 투어
여성들은 역사에 등장하더라도 부정적으로 나오고, 아내나 정부, 뮤즈로 대상화되거나 사소하게만(trivialized) 그려집니다. (...) 파리에 살았던 수많은 여 ...
하리타
| 2021.07.03 15:19
아시안 여성 향한 혐오범죄, ‘우연한’ 사건 아니다
이 사건을 인종적 동기나 성적인 동기, 둘 중 하나의 관점으로만 본다면 가해자가 특별히 아시아 여성이라는 집단을 피해자로 ‘결정’했다는 사실의 ...
김현숙(애니)
| 2021.04.06 20:44
반-인종차별 교육은 많은 조직에서 ‘필수’가 되고 있죠
저는 교육할 때 항상 강조해요. ‘동료가 괜찮지 않은(not okay) 행동을 했을 때 내가 나설 수 있는가’ 고민하라고. ...
하리타
| 2021.03.28 19:00
우리는 베를린을 위해서 ‘위안부’ 운동을 합니다
“지금, 여기서 당신에게 ‘위안부’는 무엇인가. 당신은 그녀들을 계속 기억할 것인가? 그렇다면 왜,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?” ...
하리타
| 2021.03.03 17:49
1
2
3
4
5
6
7
8
9
10
15
많이 본 기사
1
‘선거일은 유급 휴일’ 우린 왜 출근해야 하지?
2
제주도에 오는 관광객 수를 줄여야 한다
3
‘김여사’를 만든 사회에서, 내 삶의 운전대 잡기
4
포켓몬고로 접속한 용산 기지생태계
5
고교 실습생도 노동자…‘학벌 정치’에 도전장 낸 이유
6
발달장애인을 위한 투표소는 없다
7
사랑은 낯선 길을 떠나는 것이야
8
장애 ‘여성’에게 이동권은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
9
육아, 간병…돌봄의 시간도 ‘경력’으로 인정받아야
10
동물에겐 표가 없다, ‘지구공유자’ 우리 손에 달렸다
국경너머
많이 본 기사
1
도쿄올림픽의 빛과 그림자 다룬다더니…‘날조’ 방송 논란
2
‘임신중지 접근성은 인권’ 에콰도르의 페미니스트들
3
‘묻지마 범죄’가 아니라 ‘페미사이드’ 미수 사건이죠
최신기사
거주할 권리, 재생산의 권리
Hate crimes against Asian women are not coincidental
‘선거일은 유급 휴일’ 우린 왜 출근해야 하지?
고교 실습생도 노동자…‘학벌 정치’에 도전장 낸 이유
‘김여사’를 만든 사회에서, 내 삶의 운전대 잡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