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3.12.03 [19:40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장애
팬데믹이 드러낸 ‘약자 소외’ 사회 직시해야
가족이 ‘(장애인을) 죽이도록 만드는’ 사회는 이미 와 있습니다. 코로나로 인해 드러난 것은 약자의 ‘시설화’와 의료와 복지에서의 소외입니다. ...
구리야마 준코
| 2023.10.29 18:27
“1층이 있는 삶을 모두에게” 청사진을 그리는 사람들
“소송도 이겼고, 관련 법령도 달라졌는데, 왜 현실은 이렇게 달라지지 않았을까? 실질적으로 뭐가 문제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제로 경사로를 깔아보기 ...
박주연
| 2023.10.24 11:58
가족 ‘밖’에서 울타리를 만드는 사람들의 도전
장애여성들은 어떤 가족 형태이든 ‘내가 장애가 있더라도 차별하지 않는 평등한 관계’를 원했다. ...
고나영
| 2023.08.07 10:08
장애여성의 ‘동의 여부’를 묻지 않는 사회
왜 장애여성 성폭력 사건의 유무죄 판단 근거가 피해자의 ‘장애’가 되어야 하는가? 왜 장애여성의 일상생활 능력이 성적 자기결정권 행사 능력으로 ...
장애여성공감
| 2023.07.31 21:13
‘한국수어’에서 혐오표현 빼고, 존중과 긍정 더하기
농인을 수어통역사를 통해서만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. 사실 농인과 청인은 정말 다양한 형태로 만날 수 있거든요. ...
박주연
| 2023.03.28 10:49
비장애인과 장애인이 ‘함께’ 연극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해
장애를 가지고 비장애 중심 사회를 살아간다는 자체가, 계속 ‘나도 여기 존재하고 있다’는 것을 확인시키는 일인 것 같아요. 이 과정이 그냥 제 삶이 ...
박주연
| 2023.01.22 12:44
연극으로 만난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‘어수선한’ 연결
배우에게 그런 기회가 주어지면, 연기력을 뽐내기 위해 유명한 희곡의 독백 같은 걸 하거든요. 근데 극단 애인에선 자신의 생애를 이야기했다는 거. ...
박주연
| 2023.01.21 19:37
아직도 자주 몸무게를 잰다
모두가 ‘먹는 행위’를 기형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. 어째서일까. 인류의 식이생활이 균형점을 잃은 것처럼 느껴진다고 하면 너무나 큰 ...
백은선
| 2023.01.16 19:33
장애를 가진 여성이 겪는 ‘복합차별’을 말하다
“마흔에 제가 임신했을 때, 어머니와 의사가 함께 임신중단을 권했어요. 의사는 장애아를 낳을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, 어머니는 제가 장애가 있는데 ...
가시와라 토키코
| 2023.01.14 13:29
섭식장애와 함께한 15년
섭식장애는 정상성을 거부하는 강력한 반동행위이기도 하다. 섭식장애 환자는 모두가 당연하다고 여기는-먹고, 마시고, 배설하는- 것을 하지 않는다 ...
박채영
| 2023.01.11 09:29
1
2
3
4
5
6
7
8
9
10
23
많이 본 기사
1
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
2
국경을 열고 “우리는 할 수 있다”…독일은 지금
3
“부산 갈 테니 기다려,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”
4
이혼의 공포도, 나이듦의 공포도 ‘오류’가 많다
5
생계와 가치,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
6
어느 홈리스 여성이 남긴 기록, ‘쓸모 없어 빛나는’ 세계
7
“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” 독일판 깻잎 투쟁기
8
“다들 자기만의 어려움이 있잖아요? 서로에게 친절해져요”
9
당신을 발견해주는 친구
10
먹는 임신중지약 승인한 日, 그런데 ‘제한’이 많다고?
소수자 시선
많이 본 기사
최신기사
소멸과 필멸, 그리고 불멸
“부산 갈 테니 기다려,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”
국경을 열고 “우리는 할 수 있다”…독일은 지금
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
The Victim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Raised Her Banner: “I Didn’t Back Down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