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3.12.03 [19:40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음악
마른 몸, 밝은 피부의 ‘팝 스타’만 보고 컸지만…
‘불안했다. 왜냐면 내가 무대에서 봤던 스타들은 다 마르고 밝은 피부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’ ...
블럭
| 2023.02.17 09:38
‘흑인 여성 혐오’(misogynoir)로부터의 해방
흑인 여성 해방은 기존 선입견으로부터의 해방, 실제 직면하고 있는 흑인에 대한 구조적 폭력이나 흑인 커뮤니티 내의 여성 혐오, 좋지 못한 관계로부터 ...
블럭
| 2022.07.23 07:45
가부장적 음악시장에서, 더욱 반짝이는
"소피아, 알아야 해, 너와 나. 이 관계에 대해 죄책감이 느껴지면 안 돼. 우리가 노력하면 할 수 있다고 생각해" ...
블럭
| 2022.06.24 15:52
새로운 음악의 갈래를 만드는 흑인 여성 로커
잔드리아 F. 로빈슨은 에 기고한 글에서 “시스터 로제타 사프와 프린스의 자손이자 모든 장르의 소유자”라고 오늘 소개할 음악가를 평한다. ...
블럭
| 2022.05.29 14:44
록 음악 정신은 자유, ‘젠더 프리’하게
“우리는 우리가 옳다고 느끼는 것은 무엇이든 자유롭게 입을 수 있으며, 성별 규범과 물건 사이의 이러한 모든 고정관념을 흐리게 하는 메시지를 보내 ...
블럭
| 2022.05.01 15:57
여성 힙합 음악가에게 최대의 적은 '여성혐오’
메건 디 스탤리언은 지금까지 남성 래퍼들은 여성을 성적 욕구의 대상으로 삼았음에도, 여성이 발화하는 이 한 곡에 대해 ‘괜찮지 않다’고 여기는 시 ...
블럭
| 2022.03.31 08:35
새 시대의 록스타는 she/he 아닌 they라 불리길 원한다
킹 프린세스의 가사에서는 he나 she를 쓰는 일이 거의 없다. 성별을 지칭하는 인칭대명사를 쓰지 않는 것은 곧 특정 성별을 대상으로 쓴 곡이 아니게 된다 ...
블럭
| 2022.03.03 18:15
예술을 통해, 퀴어로서 스스로를 직접 정의하는 사람
나는 대담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. 확실히 적극적인 사람이다. 나는 자기 주장을 하지 않는 유색인종 여성이 성공하거나 생존하는 걸 본 적이 없다. ...
블럭
| 2022.01.31 10:55
우린 밴드지, 걸(girl) 밴드가 아니야
“침대에서도 베이스기타를 칠 때의 얼굴을 하고 있냐”고 질문을 받았던 에스티의 실화를 바탕으로 곡을 만들었다. ...
블럭
| 2022.01.07 19:23
영혼을 파는(selling) 대신 항해한(sailing) 기록
앨범 제목은 영혼을 파는(selling) 대신 항해하겠다(sailing)는 의미를 담고 있다. ...
블럭
| 2021.12.06 09:43
1
2
3
4
5
6
7
8
9
10
19
많이 본 기사
1
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
2
국경을 열고 “우리는 할 수 있다”…독일은 지금
3
“부산 갈 테니 기다려,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”
4
이혼의 공포도, 나이듦의 공포도 ‘오류’가 많다
5
생계와 가치,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
6
어느 홈리스 여성이 남긴 기록, ‘쓸모 없어 빛나는’ 세계
7
“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” 독일판 깻잎 투쟁기
8
“다들 자기만의 어려움이 있잖아요? 서로에게 친절해져요”
9
당신을 발견해주는 친구
10
먹는 임신중지약 승인한 日, 그런데 ‘제한’이 많다고?
문화
많이 본 기사
1
소멸과 필멸, 그리고 불멸
2
“부산 갈 테니 기다려,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”
3
당신을 발견해주는 친구
4
“이런 게 되는 곳은 여기밖에 없으니까 놀자, 놀자, 놀자!”
5
어느 홈리스 여성이 남긴 기록, ‘쓸모 없어 빛나는’ 세계
최신기사
소멸과 필멸, 그리고 불멸
“부산 갈 테니 기다려,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”
국경을 열고 “우리는 할 수 있다”…독일은 지금
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
The Victim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Raised Her Banner: “I Didn’t Back Down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