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2.08.09 [18:58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일다의 방
낙관하자, 희망이 있어서가 아니라 ‘살아야 하니까’
시니어 대상 창작 수업을 했을 때, 어떤 분이 ‘선생님 소설엔 특이하게 퀴어가 자주 나오는 것 같다’고 하더라고요. 그래서 제가 ‘익숙하지 않아서 ...
박주연
| 2022.07.31 18:18
여성‧퀴어‧노동 이야기가 없는 세상을 견딜 수 없어서
쓰고 싶다는 마음을 더 들여다보면 ‘이 세상에 분명 있어야 하는데 없는 이야기들이 있어서. 그 이야기가 없는 세상을 견딜 수 없어서’이기도 해요. ...
박주연
| 2022.07.02 11:08
포켓몬고로 접속한 용산 기지생태계
정여름 감독은 증강현실 게임 ‘포켓몬고’를 하다가, 미군기지 내 ‘체육관’과 ‘포켓스톱’에서 우연히 발견한 이미지들을 단서로 미군기지를 소재 ...
심아정
| 2022.05.21 12:52
이성애자들이 허락한 공연 말고, 퀴어 공연을!
이성애자 배우나 시스센더 배우가 퀴어 연기하는 건 가십성으로 소비되는 게 있잖아요. 근데 그 반대의 경우에 대해선 아무도 물어보지 않잖아요? ...
박주연
| 2022.04.11 17:25
보이지도 말해지지도 않았던 어떤 시간의 결
너는 내가 나 같아? 거울 앞에서 가발을 쓰다 말고 언니가 나를 돌아보며 처음 물었던 날을 기억한다. ...
김지승
| 2022.03.20 11:54
구름마을 노인들의 단추 비빔밥 안에 든 것
하루에 꼭 필요한 말만, 그것도 같이 사는 개, ‘수명이’에게만 한다는 정순 씨의 한 마디, “중요한 건데…”가 노인들을 매일 구름방에 모이게 만들 ...
김지승
| 2022.02.25 19:35
이야기에 기입된 여성의 역사
감각이 돌아오고 있었다. 앞으로도 여성의 시간은 때때로 솟아올랐다가 곤두박질치고 멋대로 뒤엉키거나 수많은 과거와 미래로 뻗어나가기도 할 것이 ...
김지승
| 2022.01.15 12:48
가장 가까이 스치는 칼날, 엄마
세상이 나 죽지 말라고 내 딸을 내렸다. 우리는 세상에서 하나였다. ...
김지승
| 2021.12.25 10:30
무수한 ‘나’와 ‘너’가 서로에게 말을 걸 때
지도를 펼쳐 그가 살고 있다는 마을의 이름을 찾아냈다. 내가 있는 데서 여기까지가… 아, 나는 어디에 있는 거지? ...
김지승
| 2021.11.15 11:24
일본의 미투(#MeToo)는 이렇게 시작됐다
플라워 시위에 참여한 사람들은 99% 여성이었고, 세대도 폭넓은 사람들이 왔어요. 모두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하는데. 그때 아 드디어 시작했구나 라고 느 ...
조경희
| 2021.11.13 21:16
1
2
3
4
5
6
7
8
9
10
134
많이 본 기사
1
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며 겪은 세 번의 성폭력
2
‘여성가족부 폐지’에 맞서는 유쾌한 페미니스트들
3
누구나 돌봄이 가능하다고 우기는 법
4
낙관하자, 희망이 있어서가 아니라 ‘살아야 하니까’
5
성인이 될 때까지 ‘자폐’ 진단을 받지 못한 나의 삶
6
‘마을활동 예술가’로 생존하는 법
7
콜롬비아, 광산노동자 출신의 흑인 여성 부통령 탄생!
8
‘엄마’의 우울증과 모성 이데올로기
9
과대 생산의 사회, 이삭 줍는 사람들
10
I take final photograghs with my “Korean Umma”
일다의 방
많이 본 기사
1
낙관하자, 희망이 있어서가 아니라 ‘살아야 하니까’
최신기사
‘털 난 물고기’의 무지갯빛 춤, 반짝이는 글
콜롬비아, 광산노동자 출신의 흑인 여성 부통령 탄생!
‘마을활동 예술가’로 생존하는 법
‘여성가족부 폐지’에 맞서는 유쾌한 페미니스트들
I take final photograghs with my “Korean Umma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