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작페이지로
l
즐겨찾기
l
RSS
l
편집
2022.05.28 [10:42]
전체기사
l
로그인
l
ID/PW 찾기
사회
노동
녹색정치
국경너머
소수자 시선
문화
일다의 방
English Article
일반
평화
성차별
성폭력
성매매
정치/정책
가족/관계
의료/과학
이주
아시아
세계
퀴어
장애
십대
영화
책/문학
음악
여행
만화/애니
공연/전시
매체비평
인터뷰
창작
몸 이야기
몸 이야기
‘여자춤’과 ‘남자춤’ 사이 어디쯤에서
브레이크 댄스는 그 당시 이름부터 비보잉(B-Boying)이었고 학원을 겨우 찾아가면 힘 센 남자애들밖에 없었다. ...
이누
| 2021.10.26 15:08
회복 아니면 실패? n개의 질병 서사 복원하기
몇 주간 의사들의 집단행동과 의료정책을 정부와 의사단체가 결정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. 의료정책 결정 과정에는 아픈 몸도 한 주체가 되어 ...
조한진희(반다)
| 2020.09.10 17:31
환청에 대한 도전적 해석, ‘목소리 듣기 운동’
‘목소리 듣기 운동’(hearing voice movement)은 약물로 ‘치료’되지 않는 환청에 대해 무조건 삭제하거나 부정할 게 아니라, 목소리를 함께 들어줌으로써 ...
조한진희(반다)
| 2020.08.30 20:17
15년간 어둠 속에 있었던 내가 만난 ‘작은 기적’
나는 조현병 당사자다. 15년간 집 밖을 나오지 못하고 서른에서 마흔다섯이 될 때까지 집에만 틀어박혀 있었다. 남들이 고뇌하고 분투하며 때로는 웃고 ...
목우
| 2020.08.20 13:34
나는 다른 사람의 절망을 알고 싶지 않았다
“주변에 무참히 버려지고 쓰러지고 짓밟히는 생명이 얼마나 많은데, 사람들은 왜 새 생명만을 원하나요?” ...
다리아
| 2020.08.12 20:41
주인공에게 상처를 주는 ‘악역’을 연기하며 깨달은 것
"아까 터미널에서 너랑 닮은 여자를 봤는데 진짜 깜짝 놀랐어. 네가 나으면 그런 모습일 것 같아서 자꾸 돌아보고, 보고, 또 봤어. 너무 예쁘더라.&qu ...
안희제
| 2020.08.05 18:36
‘타인의 고통’ 그가 받은 편견을 재현하며 함께 겪기
“네가 그걸 아는 게 확실해? 진짜야?” 나는 기억할 수 없었다. 기억은 허물어지고 있었다. 뒤돌아볼 수 없게. 궁금하다. 대체 언제 기억을 잃어버리는 ...
홍수영
| 2020.07.30 20:15
20년간 사진 촬영도 피했던 내가 관객 앞에 섰다!
고등학교 때 교실에서 책상다리에 걸려 넘어져 턱을 다쳐 두 번의 수술을 받은 이후, 스물여섯에 재발하면서 모든 것이 달라졌다. 거울에 비친 내 모습 ...
나드
| 2020.07.23 14:33
억눌렀던 슬픔이 처음 몸 바깥으로 흘러나올 때
2014년 7월, 수험생활 중에 크론병 진단을 받았다. 크론병을 가진 연예인들이 있어서 그 이름 자체는 어느 정도 알려지기 시작했지만, 크론병이 실제로 어 ...
안희제
| 2020.07.15 10:31
“젊은 여자가 암이라니” 이런 반응은 이제 좀
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에서 나의 삭발식을 생중계하는 퍼포먼스를 기획했다. 사람들이 상상하는 슬픔과 눈물 범벅의 삭발식이 아닌, ‘그냥 빡빡이 여 ...
쟤(정지혜)
| 2020.07.08 10:35
1
2
3
4
5
6
7
8
9
10
14
많이 본 기사
1
‘선거일은 유급 휴일’ 우린 왜 출근해야 하지?
2
제주도에 오는 관광객 수를 줄여야 한다
3
‘김여사’를 만든 사회에서, 내 삶의 운전대 잡기
4
포켓몬고로 접속한 용산 기지생태계
5
고교 실습생도 노동자…‘학벌 정치’에 도전장 낸 이유
6
발달장애인을 위한 투표소는 없다
7
사랑은 낯선 길을 떠나는 것이야
8
장애 ‘여성’에게 이동권은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
9
육아, 간병…돌봄의 시간도 ‘경력’으로 인정받아야
10
동물에겐 표가 없다, ‘지구공유자’ 우리 손에 달렸다
일다의 방
많이 본 기사
1
포켓몬고로 접속한 용산 기지생태계
최신기사
거주할 권리, 재생산의 권리
Hate crimes against Asian women are not coincidental
‘선거일은 유급 휴일’ 우린 왜 출근해야 하지?
고교 실습생도 노동자…‘학벌 정치’에 도전장 낸 이유
‘김여사’를 만든 사회에서, 내 삶의 운전대 잡기